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이화여자대학교 소식

EWHA NEWS

노벨물리학상 수상 조지 스무트  교수 초청 특강 개최
노벨물리학상 수상 조지 스무트 교수 초청 특강 개최 자연과학대학(학장 이상혁)은 9월 25일(월) 종합과학관에서 2006년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조지 스무트(George F. Smoot) 교수를 초청해 ‘오늘날의 우주론(Cosmology Today)’을 주제로 특강을 개최했다. 현대물리학 최고의 석학인 조지 스무트 교수는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의 발견’을 이끈 공로로 2006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무트 교수는 세계적 수준 연구중심대학 육성(WCU) 사업 지원으로 2008년 본교 석좌교수로 초빙돼 우주의 탄생 원리와 과정을 연구하는 본교 초기우주과학기술연구소 초대 소장으로 재임한 바 있다. 특강에 앞서 김은미 총장은 “이번 특강이 특별히 의미 있는 것은 스무트 교수가 2009년부터 5년간 이화여대 초기우주과학기술연구소를 설립하고 교육과 연구에 깊숙이 관여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학문 분야와 함께 여성 과학자, 여성 공학자를 가르치고 훈련시키는 여성 고등교육기관인 이화여대에서 진행되는 특강이기 때문”이라며 “오늘 강연을 통해 학생 여러분이 다음 세대의 훌륭한 과학자, 물리학자가 될 수 있는 영감을 갖고, 나아가 이화여대에서 한국 최초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배출되기를 기대해 본다”고 환영사를 전했다. 이날 강연에서 스무트 교수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관측 우주론의 발전과 도전의 역사를 흥미진진하게 전했다. 그는 강연을 통해 우주에 대한 중요한 질문의 답을 찾고 우주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기초연구로서의 우주론의 의미를 소개하고, 우리가 현재 이해하고 있는 우주에 대한 지식이 지난 수십 년간의 이론과 관측, 기기 개발 노력의 성과임을 강조했다. 또한 스무트 교수는 “우주론은 우주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큰 것’에 대한 연구로 보통 생각하기 쉽지만, 이론적으로 ‘미시세계의 이론’인 양자역학이 초기우주 이해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최근의 초정밀 관측 기기는 양자역학적 이해가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우주론 연구에 있어서의 양자연구의 역할도 덧붙였다. 강연 후에는 학생들과의 질의응답 시간이 마련됐다. 스무트 교수는 학생들에게 “본인이 우주론 연구를 시작했을 때에는 우주론 학계의 규모가 매우 작고, 연구자가 적은 시대였다”며 “대세 연구가 무엇인지 찾기보다는 내가 잘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특강은 한국과학기술한림원과 스웨덴 노벨재단 산하의 ‘노벨프라이즈 아웃리치’가 공동 주관하는 ‘노벨프라이즈 다이얼로그 서울 2023’ 행사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본교는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엇호프트 교수, 조지 스무트 교수를 비롯한 세계적 석학들의 학술 행사를 개최하며, 우수 과학기술 연구자와의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학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융합적이고 발전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대학원 인공지능융합전공, 세계 1위 GPU 업체 엔비디아와 암 진단 AI모델 공동연구 나서
대학원 인공지능융합전공, 세계 1위 GPU 업체 엔비디아와 암 진단 AI모델 공동연구 나서 ‘AI 선도주자’ 이화-엔비디아 의료바이오 분야 손잡아 본교 대학원 인공지능융합전공이 세계 1위 그래픽저장장치(GPU) 업체인 엔비디아(NVIDIA)와 암 진단 인공지능(AI) 모델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에 나선다. 학계와 산업계에서 AI 분야를 선도하는 본교와 엔비디아의 의료바이오 분야 산학협력이 의미 있는 결실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엔비디아는 1993년 설립된 미국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으로 그래픽저장장치와 자율주행자동차 부문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컴퓨터의 미래로 불리는 ‘가속 컴퓨팅 모델’을 가능하게 한 그래픽 저장장치 개발을 통해 AI 혁명을 촉발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본교 대학원 인공지능융합전공은 엔비디아와 올해 4월 국내 최초로 산학협력을 맺고 AI 교육 및 연구 심화,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을 진행해 왔다. 이삼봉홀에서 개최된 ‘NVIDIA x EWHA AIX Day’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본교와 엔비디아는 지난 4월 ‘NVIDIA x EWHA AIX Day’를 개최하고, 8월에만 두 차례 워크숍을 갖는 등 의료바이오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교류를 진행해 왔다. 인공지능융합전공은 올해부터 엔비디아 AI 테크센터(AI Technology Center, NVAITC) 연구자 그룹에 합류해 의료바이오와 헬스케어에 초점을 맞춘 공동연구 프로젝트 추진을 시작했다. NVAITC는 엔비디아가 최신 GPU 및 AI 인프라를 활용해 세계 각 지역 연구기관과 인프라 구축 및 공동연구 사업을 전개하는 R&D센터로, 엔비디아는 2015년부터 싱가포르·미국·룩셈부르크·홍콩·대만 등에서 NVAITC를 운영해 왔다. 본교와 NVAITC가 첫 번째로 추진하게 될 공동연구 프로젝트 후보로는 암 진단과 분류에 적용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을 고려하고 있다. 본교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최장환 교수팀의 ‘췌장암 진단 인공지능 모델 고도화를 위한 CT 영상 데이터의 지능적 분석을 통한 의료 기반 모델 개발 및 활용’과 생명과학과 이상혁 교수님의 ‘단일 세포 분석 및 AI 데이터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대장암 및 유방암 자동 분류’, 의학과 김진우 교수팀의 ‘Digital Dentistry AI: Advanced Generative Modelling for Predictive Orthodontic and Orthognathic Surgical Imaging,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박창현 교수팀의 ’Diagnostic and prognostic prediction of temporal lobe epilepsy (TLE) based on hippocampal sclerosis (HS) patterns‘ 연구가 후보에 포함되어 있다. 엔비디아는 본교 인공지능융합전공 대학원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학생들은 엔비디아가 운영하는 세계적 수준의 ‘딥 러닝 인스티튜트(Deep Learning Institute, DLI)’ 대학 앰버서더 프로그램을 수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매 학기 앰버서더 인증을 획득하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데이터사이언스, AI, 로보틱스, 옴니버스 관련 분야의 교육 키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엔비디아와 글로벌 인턴십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2024년에는 바이오 헬스케어를 주제로 한 엔비디아 ‘GPU 부트캠프’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러한 본교와 엔비디아의 혁신적인 산학협력 사례는 9월 26일(목) ECC 이삼봉홀에서 열린 ‘제3회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사업 산학협력포럼’에서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번 포럼은 인공지능 융합 분야 석·박사급 실무형 고급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융합혁신대학원사업’의 일환으로 작년 9월과 올해 3월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됐다. 심재형 교수(컴퓨터공학전공)의 사회로 진행된 포럼 1부 순서는 최병주 인공지능융합 혁신인재양성센터소장의 개회 선언, 김은미 총장과 박현석 인공지능대학장의 축사,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기업 전문가 초청 강연 순으로 진행됐다. 엔비디아 서완석 상무와 류현곤 부장의 ‘엔비디아-이화여대 의료·바이오 AI 융합 협력’ 특강에 이어 ‘AI 의료기기 창업과 글로벌 사업화’에 대해 인공지능 스타트업 에어스 메디컬(AIRS MEDICAL) 이혜성 대표가, ‘인공지능과 법률’을 주제로 법무법인 린의 전응준 변호사 겸 변리사가 강연을 맡아 인공지능 최신 이슈와 동향을 발표했다. 이우복 교수(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의 사회로 진행된 2부에서는 ‘AI 융합 실무 인재 양성 고도화’라는 포럼 주제에 맞춰 본교 인공지능융합전공 석박사과정생들의 AI융합 창의자율과제 우수작 발표와 창의자율과제와 인턴십을 주제로 ‘산업체와의 만남’이 이뤄졌다.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그 영향력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교내외 250여 명이 참여해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국내 산업계·학계·정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산학협력을 통한 혁신적인 대응 방안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네트워크의 장으로서 그 의미를 더했다. 본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2년도 인공지능융합혁신인재양성사업(사업책임자 최병주 교수)’에 선정되어 일반대학원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부 인공지능융합전공(http://aix.ewha.ac.kr/)을 설립, AI-의료/바이오융합과 AI융합기반기술 분야에 초점을 맞춰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산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협력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READ MORE

Notice & Event Information

TOGETHER. TOMORROW. EWHA

늘 세상의 앞에서 시대를 선도해온 이화.
1886년 한 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이후 한 세기 넘게 여성의 가능성을 넓혀온 이화는 미래의 혁신이 가져올 새로운 내일의 변화를 맨 앞에서 이끌고 있다.

10월의 행사

MORE

이화여자대학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EWHA SNS

  • Instagram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