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대학교

검색 열기
통합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이화여자대학교

통합검색
nav bar
 

이화여자대학교 소식

EWHA NEWS

나눔과 섬김의 이화 정신을 돌아보다, 이화 스승 추모 순례
나눔과 섬김의 이화 정신을 돌아보다, 이화 스승 추모 순례 이화 창립 139주년을 맞아 이화정신을 돌아보는 ‘이화 스승 추모 예배’가 4월 16일(수)에 개최됐다. 이날 행사에는 장명수 이화학당 이사장, 이향숙 총장, 장상·김선욱·김은미 전 총장을 비롯해 학교법인 이화학당 이사진, 총동창회 임원, 교무위원 등 주요 보직자와 이화가족 160여 명이 참석했다. 오전에는 '양화진 이화 스승 추모 순례'가 양화진 외국인선교사묘원에서 진행됐다. 양화진 묘원에는 이화를 창립한 메리 F. 스크랜튼 초대 당장을 비롯해 조세핀 O. 페인 제3대 당장, 메리 R. 힐만 당장서리, 앨리스 R. 아펜젤러 제6대 교장, 이화의료원의 전신이자 한국 최초의 여성 전문병원인 '보구녀관' 2대 의료선교사 로제타 셔우드 홀 등 다섯 분의 스승들이 안장되어 있다. 이향숙 총장은 “양화진 묘역에 다섯 분의 선생님들은 자신의 고국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시고 무엇보다 평생 이화를 통해 한국 여성 교육의 선구적 역할을 감당하셨으며, 이분들이 남기신 헌신과 사랑의 발자취는 오늘날 139년의 역사를 이어온 이화의 근간이 되었다”고 밝히며 “스승님들의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아 학생들이 두려움 없이 자신의 소명을 발견하고 세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끄는 인재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오후에는 가평 이화수목원에서 '이화수목원 스승 추모예배'가 진행됐다. 예배는 안선희 교목실장의 인도로 찬송과 기도, 성경봉독, 양귀비 교수(성악전공)의 특송, 교목실장 말씀, 총장 인사말씀 그리고 축도 순으로 진행됐다. “사랑하는 이여 나는 그대의 영혼이 평온함과 같이 그대에게 모든 일이 잘되고 건강하기를 빕니다”라는 요한3서 말씀(1장 1-2절)을 봉독한 후 안선희 교목실장은 '깊은 우정'이라는 제목으로 말씀을 전했다. 말씀에서 선대 선생님들의 깊은 우정이 이화가족을 묶어주는 연대의 기초가 되었음을 밝히며, 앞으로도 더욱 아름답고 건강한 우정의 공동체로 만들어 갈 것을 다짐하자고 했다. 이화수목원에는 안장된 김활란 제7대 총장, 서은숙·김영의 전 이화학당 이사장, 김옥길 제8대 총장, 이정애 초대 간호교육과장, 김애식 초대 음악과장, 김활란 전 총장의 모친 박또라 여사 등 이화를 위해 헌신한 일곱 분의 묘역이 마련되어 있다. 특히 올해는 이화여자전문학교 설립 100주년을 맞은 해로, 교목실은 양화진과 가평에 안장된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담은 책자를 특별 제작해 배포했다. 추모 순례 참가자들은 이화의 정신적 초석이 되어준 선생님들의 헌신과 사랑을 깊이 되새기는 특별한 시간을 가졌다.
본교 교수진 22명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본교 교수진 22명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 본교 교수진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기초연구사업에 대거 선정되며 우수한 역량을 빛냈다. 기초연구 강화와 우수 연구자 양성을 지원하고자 선정하는 중견연구 지원사업 도약형 및 유형1 분야에 총 22명의 교수진이 선정되어 향후 최대 5년간 180여억 원의 지원을 받아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 본교가 ‘포용적 혁신으로 대전환 시대를 선도하는 이화’의 비전 하에 세계 수준의 연구 환경을 조성하고, 연구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우수한 연구 역량을 보유한 중견연구자 지원사업 선정은 중요한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교는 First Mover형 연구자 육성을 위해 <Ewha Global Excellence Program(EGEP)>을 확대하고, <융합연구원>을 신설해 초학제간 융복합 연구지원 하는 등 연구몰입환경을 구축하며 연구중심대학으로서 위상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우수 성과를 보유한 연구자에게 연구 고도화 및 혁신적인 성과 창출을 지원하는 ‘중견연구 도약형’ 사업에는 첨단 소재 및 나노·분자과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화학·나노과학전공 문회리 교수, 환경 수처리 공정 개발 분야 연구자인 환경공학과 박찬혁 교수, 기후과학 분야 석학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허창회 교수, AI기반 컴퓨터 비전 및 데이터 인포매틱스 분야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인공지능학과 최장환 교수가 선정됐다. 리더연구자로의 성장 발판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견연구 유형1’ 사업에는 자연·공학·의학·간호·약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 18명의 교수진이 선정됐다. △자연과학대학 물리학과 서동석 교수, 화학·나노과학전공 김준수 교수, 생명과학과[대학원] 이상혁 교수, △공과대학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 곽준영 교수, 화공신소재공학과 조수연 교수,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교수, △신산업융합대학 의류산업학과 윤창상 교수, 식품영양학과 박윤정 교수, 정승연 교수, △의과대학 의학과 신정아 교수, 최윤희 교수, △간호대학 간호학부 강숙정 교수, 김석선 교수, △약학대학 약학과[대학원] 이윤실 교수, 황은숙 교수, △스크랜튼대학 뇌·인지과학부 정수영 교수, 조제원 교수, △의료원 박정현 교수는 향후 3년~5년간 연구비를 지원받아 창의성 높은 개인 연구를 통해 우수한 기초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선정 과제 목록은 다음과 같다. 구분 소속 성명 과제 중견연구 도약형 화학 나노과학전공 문회리 다변량 금속-유기 골격체 설계 및 시너지 효과 탐구 환경공학과 박찬혁 세탁과정 발생 나노플라스틱 저감 필터 및 포집 업사이클링 기술 개발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허창회 물리 정보 신경망(PINN)을 활용한 WRF-CMAQ 모델의 개선 인공지능학과 최장환 멀티 프레임 X선 Fluoroscopy 영상의 실시간 화질 개선 및 글로벌 성능 검증을 위한 시공간 딥러닝 모델 고도화 중견연구 유형1 물리학과 서동석 초전도 나노선 네트워크 비선형 임계현상 기반 물리적 신경망 연산 구현 화학 나노과학전공 김준수 분자 이동 제어를 위한 브라운 모터 개발: 분자 수준에서의 설계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구현 생명과학과[대학원] 이상혁 단일세포 공간전사체 데이터의 분석 및 조직 이미지 기반의 AI 암 진단법 개발 지능형반도체공학전공 곽준영 동질의 산화물 박막 기반 인공 뉴런-시냅스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 하드웨어 개발 화공신소재공학과 조수연 가역적 마르텐사이트형 상전이를 위한 고엔트로피 소재 식품생명공학과 이진규 고성능 3D 다공성 스캐폴드 직조를 통한 하이브리드 대체육 생산 혁신: 세포 부착력 증진 및 배양 효율 극대화 의류산업학과 윤창상 섬유소재의 3D 가상화를 위한 감성특성 분류 체계 개발 - 드레이프성 및 촉감특성의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식품영양학과 박윤정 지방간질환 제어를 위한 FGF21 signaling 유도 식사섭취패턴 연구 식품영양학과 정승연 빅데이터 기반 한국형 건강노화 예측 및 식이 관리 방안 연구 의학과 신정아 뇌내출혈로 인한 급성철분과부하와 신경퇴행성질환의 상관관계 연구 의학과 최윤희 노화 신경염증 및 신경퇴행의 면역조절 기전 연구를 통한 치료 개발 간호학부 강숙정 성인 LGBTQ의 연령대별 건강문제 및 미충족 요구(unmet needs)에 기반한 맞춤형 건강관리 중재 프로그램 개발 간호학부 김석선 Human-AI 협업 플랫폼을 활용한 신앙공동체 기반 노인 맞춤형 우울·자살 예방 온·오프라인 혼합 프로그램 개발 약학과[대학원] 이윤실 p16INK4a-Autophagy Axis 조절하는폐섬유화 제어 천연물 소재 발굴 연구 약학과[대학원] 황은숙 스트레스 호르몬 생성 조절 및 기능의 새로운 조절인자 연구 뇌·인지과학부 정수영 생체시계 CRY 단백질에 의한 Cereblon (CRBN) 복합체 기능 조절 기전 규명 및 신경 발달 장애 치료 전략 개발 뇌·인지과학부 조제원 뇌섬엽 피질의 층 특이적 TMS 신경조절 기법 개발: 시상/편도체 투사경로 차이에 기반한 공포조절 메커니즘 연구 의료원 박정현 골다공증 치료제 데노수맙 및 로모소주맙의 MRONJ 발생 위험: 빅데이터와 AI 기반 위험평가와 예방전략
READ MORE

Notice & Event Information

04월의 행사

MORE

이화여자대학교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EWHA SNS

  • Instagram Youtu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