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민수 교수는 사회과교육과 역사교육전공 교수로, 동아시아 근세사를 전문으로 한다.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에서 학·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방문연구원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청대 북경을 중심으로 한 제국 건설과 통치 과정, 동아시아 국제 전쟁과 한・중 관계사이며, 희귀한 만주어 사료를 활용한 실증적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대만의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주임교수, 동양사학회 연구이사, 명청사학회 총무이사, 역사교육학회 편집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역서로는 『명나라의 임진전쟁』, 『명나라의 정유전쟁』, 『동문휘고』(이상 공역)가 있다. 대표 논문으로 「청대 전기 '북경 수도권'의 형성과 재편」, 「임진왜란을 보는 '새로운' 창」, 「명・청 시대사 교육의 위기와 기회」, 「'중국 사관'에서 '대만 사관'으로」, 「수도 북경의 주현 행정」(우호 논문상 수상)이 있으며, 이를 통해 동아시아 근세사와 역사교육 분야에서 폭넓은 연구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학술발표] Crossing the Strait of Shifting Identities: Analyzing the Evolving Portrayals of Zheng Regime in Taiwanese History TextbooksPNC 2024 Annual Conference, 대한민국, 2024-08-30
Green, Flow and Signal: Reconnecting Fragmented Communities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2024
[학술발표] 도르곤 섭정기(1643-1650) 조선・청 관계의 재조명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역사연구소 학술세미나, 대한민국, 서울, 2022-04-22
명·청의 정변(政變)과 조선의 정치·외교, 2022, 69-78
[학술발표] 만주의 북경, 북경의 만주전남대학교 역사문화연구센터 8월 콜로퀴움,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2022-08-04
수도 베이징의 탄생: 몽골제국에서 중화인민공화국까지, 2022, 35-44
[학술발표] 대만 고등학교 <歷史> 교과서의 ‘鄭氏 政權’ 서술 변화2020년 제40차 한국중국학회 중국학국제학술대회, 대한민국, 서울, 2020-08-14
兩岸을 잇는 중국학: 통합의 변증법(跨越兩岸的中國學: 統合的辨證法), 2020, 153-174
[학술발표] “Manchu Marches West”: The Qing Occupation of Shanhai Pass and Beijing in 1644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Annual Conference 2019, 미국, 덴버, 2019-03-23
Association for Asian Studies 2019 Conference Program, 2019, 99-99
[서평] 말하고 듣고 쓰고 읽기 : 정동훈, 황제의 말과 글역사학보, 2024, v.0
no.262
, 275-283
[서평] ‘주저’ 없는 선택 :『대운하시대 1415~1784』해양유산, 2022, v.4
, 89-97